중국 점성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중국 점성술은 주나라 시대에 정교하게 발전하여 한나라 시대에 번성했으며, 음양, 오행, 도교, 불교, 유교 등 중국 전통 문화의 영향을 받았다. 중국 점성술은 출생 연도, 시간, 주요 행성의 위치 등을 바탕으로 개인의 운명을 예측하며, 목성의 궤도를 12개로 나누어 12년 주기의 띠를 사용한다. 자미두수와 이십팔수와 같은 다른 점성술 체계도 존재한다. 육십갑자는 10개의 천간과 12개의 지지를 결합하여 60년 주기를 형성하며, 태음태양력인 중국력에 따라 띠가 결정된다. 오행은 다섯 가지 원소(목, 화, 토, 금, 수)의 상생과 상극 관계를 통해 설명되며, 각 띠는 음양, 대좌, 오행과 연결되어 개인의 성격을 나타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국의 사상 - 중화사상
중화사상은 중국을 세계의 중심으로 간주하고 주변 민족을 야만으로 구분하는 화이 이분법에 기반하여 동아시아 국제 관계를 지배했던 위계적 체제로, 조공 체제를 통해 정치·경제적 관계를 형성하며 유지되었으나 19세기 이후 쇠퇴하였고, 다양한 용어와 분류, 문화적 해석으로 나타나 주변 국가와 중국 내부에서 여러 반응과 비판을 야기했다. - 중국의 사상 - 성선설
성선설은 인간의 본성이 선하다는 유교의 핵심 사상으로, 맹자는 사단을 근거로 인간 본성의 선함을 주장하며 수양을 통해 성인이 될 수 있다고 보았으나, 순자의 성악설과 대립하며 이후 다양한 해석과 논쟁을 거쳐 현대 사회에도 여러 분야에서 논의되고 있다. - 점복 - 타로
타로는 15세기 이탈리아에서 유래한 78장으로 이루어진 카드 덱으로, 게임용으로 사용되다가 18세기 후반부터 점술과 오컬트 목적으로 활용되었으며, 대 아르카나 22장과 완드, 소드, 컵, 코인 네 종류의 수트로 구성된 소 아르카나 56장으로 나뉜다. - 점복 - 사주팔자
사주팔자는 사람이 태어난 년, 월, 일, 시를 간지로 나타내 개인의 운명을 예측하는 명리학의 한 분야이며, 십간과 십이지를 조합한 육십갑자를 기반으로 오행, 십이운성, 십성 등을 활용하여 개인의 성격, 직업, 길흉성패 등을 판단한다. - 중국 철학 - 시진핑 신시대 중국 특색 사회주의 사상
시진핑 신시대 중국 특색 사회주의 사상은 시진핑이 중국 최고 지도자가 된 이후 발전하여 중국공산당의 지도 이념으로 자리매김했으며, 중국 특색 사회주의를 강조하고 권력 집중, 인권 침해 등에 대한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 중국 철학 - 마오쩌둥 사상
마오쩌둥 사상은 중국 공산주의 운동의 지도 이념으로, 모순론, 실천론, 계속혁명론 등을 핵심 내용으로 하며, 반수정주의, 반제국주의, 인민전쟁 등의 이론을 제시했다.
중국 점성술 | |
---|---|
중국 점성술 개요 | |
유형 | 점성술 |
뿌리 | 중국 철학 |
가장 오래된 기록 | 기원전 3천년 |
관련된 것 | 중국 천문학 오행 음양 간지 점복 |
12 지지 | |
지지 (地支) | 자(子) 축(丑) 인(寅) 묘(卯) 진(辰) 사(巳) 오(午) 미(未) 신(申) 유(酉) 술(戌) 해(亥) |
십이지 (十二支) | 쥐띠 소띠 호랑이띠 토끼띠 용띠 뱀띠 말띠 양띠 원숭이띠 닭띠 개띠 돼지띠 |
구성 요소 | |
천간 (天干) | 갑(甲) 을(乙) 병(丙) 정(丁) 무(戊) 기(己) 경(庚) 신(辛) 임(壬) 계(癸) |
오행 (五行) | 나무/목(木) 불/화(火) 흙/토(土) 쇠/금(金) 물/수(水) |
2. 역사와 기원
중국 점성술은 주나라(기원전 1046~256년) 때 정교하게 만들어졌고 한나라(기원전 2세기 ~ 기원후 2세기) 때 번성했다.
28개의 동아시아의 별자리인 수(중국어: 宿, xìu|슈중국어)는 서양의 별자리와는 매우 다르다. 예를 들어, 큰곰자리는 두(중국어: 斗, dǒu|떠우중국어)로 알려져 있고, 오리온자리의 허리띠는 삼(간체자: 参, 정체자: 參, shēn|선중국어) 또는 "행복과 행운 그리고 장수"의 삼신(三神)으로 알려져 있다. 일곱 개의 북쪽 별자리는 현무(중국어: 玄武, xúan wǔ|쉬안우중국어)라고 불린다. 도교 신앙에서 현무는 북쪽 하늘의 영(靈) 또는 물의 영(靈)으로도 알려져 있다.[9]
천체의 점성학적 해석 뿐만 아니라, 하늘의 별들은 많은 동화의 근간을 형성한다. 예를 들어 여름의 대삼각형은 소 치는 남자인 견우(알타이르)와 베짜는 선녀인 직녀(베가) 그리고 태백 선녀(데네브)의 삼신이다. 금지된 사랑을 하는 견우와 직녀는 은하수를 사이에 두고 떨어져 있다. 음력으로 7월 7일마다, 새들이 은하수를 가로지르는 다리를 만든다. 그 때에 견우는 아들과 딸을 데리고 직녀를 만나기 위해 은하수를 건넌다. 태백 선녀는 그 한 쌍의 영원한 연인의 보호자이다.
2. 1. 한나라 시기
한나라(기원전 2세기 ~ 기원후 2세기)에는 음양 철학, 오행과 천지 이론, 공자의 도덕론과 같은 중국 전통 문화 요소들이 중국 의학, 점술, 점성술, 연금술의 철학적 원리 형성에 큰 영향을 미쳤다.[9]2. 2. 오행과 행성
다섯 개의 고대 행성은 오행(五行)과 연관된다.[9]
2. 3. 운명 결정 요소
중국 점성술에 따르면, 한 사람의 운명은 그 사람이 태어날 때 태양, 달, 주요 행성, 혜성의 위치와 그 사람의 출생 시간 및 황도대 별자리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9] 12년 주기의 동물 별자리 체계는 목성(세성, 岁星|수이싱중국어) 궤도의 관찰로 성립되었다. 중국의 점성가들은 태양을 공전하는 목성의 궤도를 따라서 천체의 주기를 열두 개의 구간으로 분할했으며, 그것을 (11.86년에서) 12년으로 둥글게 만들었다. 목성은 목동자리(섭제, 摄提|서티중국어)와 연관되며, 때때로 서티라고 불린다.자미두수(紫微斗數|쯔웨이떠우수중국어)로 알려진 한 사람의 출생일과 출생 계절 그리고 출생시간에 근거하여 숙명과 운명을 산출하는 체계가 현대 중국 점성술에서도 개인의 운세를 점치는데 여전히 정식으로 사용되고 있다.
2. 4. 목성 궤도와 12년 주기
동물의 별자리 12년 주기 체계는 목성(한자어: 세성, 岁星|수이싱중국어) 궤도의 관찰로 성립되었다.[9] 중국의 점성가들은 태양을 공전하는 목성의 궤도를 따라서 천체의 주기를 열두 개의 구간으로 분할했으며, 그것을 11.86년에서 12년으로 둥글게 만들었다.[9] 목성은 목동자리(한자어: 섭제, 攝提|서티중국어)와 연관되며, 때때로 섭제라고 불린다.[9]3. 자미두수와 이십팔수
자미두수(紫微斗數|zǐwēidǒushù중국어)는 생일, 출생 계절, 출생 시간을 기반으로 운명을 계산하는 체계로, 현대 중국 점성술에서 운세를 점치는 데 사용된다. 28개의 중국 별자리인 수(宿)는 서양 별자리와는 상당히 다르다. 예를 들어, 큰곰자리는 두(斗)로 알려져 있으며, 오리온자리의 허리띠는 삼(參) 또는 반신반인의 "행복, 행운, 장수" 삼인방으로 알려져 있다.[2]
3. 1. 도교와 민간 신앙
일곱 개의 북쪽 별자리는 현무(중국어: 玄武, 한어 병음: xúan wǔ, 한글 표기:''수안 우'')라고 불린다. 도교 신앙에서 현무는 북쪽 하늘의 영(靈) 또는 물의 영(靈)으로도 알려져 있다.[9]천체의 점성학적 해석 뿐만 아니라, 하늘의 별은 많은 동화의 근간을 형성한다. 예를 들어 여름의 대삼각형은 소 치는 남자인 견우(알타이르)와 베짜는 선녀인 직녀(베가) 그리고 태백 선녀(데네브)의 삼신이다. 금지된 사랑을 하는 견우와 직녀는 은하수를 사이에 두고 떨어져 있다. 음력으로 7월 7일마다, 새들이 은하수를 가로지르는 다리를 만든다. 그 때에 견우는 아들과 딸을 데리고 직녀 어머니를 만나게 하기 위해서 은하수를 건넌다. 태백 선녀는 그 한 쌍의 영원한 연인의 보호자이다.[9]
4. 태음태양력과 육십갑자
육십갑자는 10개의 천간(하늘의 어간)과 12개의 지지(황도대 별자리)를 조합하여 만든 60년 주기로, 태음태양력에서 연도를 표기하는 데 사용된다. 10개의 천간은 오행(나무, 불, 흙, 쇠, 물)과 음양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며, 12개의 지지는 십이지신이라고 알려진 동물들(쥐, 소, 호랑이, 토끼, 용, 뱀, 말, 양, 원숭이, 닭, 개, 돼지)로 구성된다.[5]
육십갑자는 항상 양의 나무 쥐(甲子)에서 시작하여 음의 물 돼지(癸亥)에서 끝나고 다시 반복된다. 황도대의 별자리 수는 짝수이기 때문에, 각 별자리는 언제나 양이나 음 중 하나의 형태만 가진다. 예를 들어, 용은 언제나 양의 형태를 띠며, 뱀은 언제나 음의 형태를 띈다. 현재의 주기는 1984년에 시작했다.[5]
전통적인 중국 황도대는 태음태양력인 중국력을 따르므로, 띠의 전환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월 1일이 아닌 중국의 신년이다.[5] 따라서 1월이나 2월 초에 태어난 사람은 바로 전해의 띠와 원소를 갖게 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1990년은 말띠해였지만, 1990년 1월 27일에 말띠해가 시작했기 때문에, 1990년 1월 26일에 태어난 사람은 사실상 바로 전 별자리인 뱀띠해에 태어났다.[5]
4. 1. 천간과 오행
육십갑자(六十甲子)는 오행(五行)이라고 불리는 다섯 가지 원소(나무, 불, 흙, 쇠, 물)와 음양(陰陽)의 양(陽)과 음(陰)의 형태를 띠는 십천간(十天干)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5]10개의 천간과 관련된 오행은 다음과 같다.
- 0으로 끝나는 연도는 양(陽)의 금(金, 쇠)인 경(庚)이다.
- 1로 끝나는 연도는 음(陰)의 금(金, 쇠)인 신(辛)이다.
- 2로 끝나는 연도는 양의 수(水, 물)인 임(壬)이다.
- 3으로 끝나는 연도는 음의 수(水, 물)인 계(癸)이다.
- 4로 끝나는 연도는 양의 목(木, 나무)인 갑(甲)이다.
- 5로 끝나는 연도는 음의 목(木, 나무)인 을(乙)이다.
- 6으로 끝나는 연도는 양의 화(火, 불)인 병(丙)이다.
- 7로 끝나는 연도는 음의 화(火, 불)인 정(丁)이다.
- 8로 끝나는 연도는 양의 토(土, 흙)인 무(戊)이다.
- 9로 끝나는 연도는 음의 토(土, 흙)인 기(己)이다.
육십갑자는 갑, 을, 병, 정, 무, 기, 경, 신, 임, 계로 반복되므로, 연도의 끝수 순서는 4, 5, 6, 7, 8, 9, 0, 1, 2, 3의 순서이다.
4. 2. 지지와 띠
12개의 지지는 12가지 동물 별자리(띠)를 나타낸다. 12가지 띠는 순서대로 쥐, 소, 호랑이, 토끼, 용, 뱀, 말, 양, 원숭이, 닭, 개, 돼지이다. 베트남에서는 토끼 대신 고양이를 사용한다.[13]육십갑자(六十甲子)는 10개의 천간과 12개의 지지를 조합한 것으로, 60년 주기로 돌아간다. 각 지지는 특정한 동물 띠와 연결된다. 짝수 해는 양(陽), 홀수 해는 음(陰)이며, 각 띠는 항상 양이나 음 중 하나의 형태만 가진다. 예를 들어 용띠는 항상 양, 뱀띠는 항상 음이다.[13]
다음은 1924년부터 2043년까지의 육십갑자 표이다.
연도 | 관련 오행 | 천간 | 지지 | 간지 (干支|간지중국어) 병음 | 관련 동물 | 연도 | |
---|---|---|---|---|---|---|---|
1924–1983 | 1984–2043 | ||||||
1 | 1924년 2월 5일–1925년 1월 23일 | 양의 나무 | 甲 | 子 | jiǎ-zǐ | 쥐 | 1984년 2월 2일–1985년 2월 19일 |
2 | 1925년 1월 24일–1926년 2월 12일 | 음의 나무 | 乙 | 丑 | yǐ-chǒu | 소 | 1985년 2월 20일–1986년 2월 8일 |
3 | 1926년 2월 13일–1927년 2월 1일 | 양의 불 | 丙 | 寅 | bǐng-yín | 호랑이 | 1986년 2월 9일–1987년 1월 28일 |
4 | 1927년 2월 2일–1928년 1월 22일 | 음의 불 | 丁 | 卯 | dīng-mǎo | 토끼 | 1987년 1월 29일–1988년 2월 16일 |
5 | 1928년 1월 23일–1929년 2월 9일 | 양의 흙 | 戊 | 辰 | wù-chén | 용 | 1988년 2월 17일–1989년 2월 5일 |
6 | 1929년 2월 10일–1930년 1월 29일 | 음의 흙 | 己 | 巳 | jǐ-sì | 뱀 | 1989년 2월 6일–1990년 1월 26일 |
7 | 1930년 1월 30일–1931년 2월 16일 | 양의 금 | 庚 | 午 | gēng-wǔ | 말 | 1990년 1월 27일–1991년 2월 14일 |
8 | 1931년 2월 17일–1932년 2월 5일 | 음의 금 | 辛 | 未 | xīn-wèi | 염소 | 1991년 2월 15일–1992년 2월 3일 |
9 | 1932년 2월 6일–1933년 1월 25일 | 양의 물 | 壬 | 申 | rén-shēn | 원숭이 | 1992년 2월 4일–1993년 1월 22일 |
10 | 1933년 1월 26일–1934년 2월 13일 | 음의 물 | 癸 | 酉 | guǐ-yǒu | 닭 | 1993년 1월 23일–1994년 2월 9일 |
11 | 1934년 2월 14일–1935년 2월 3일 | 양의 나무 | 甲 | 戌 | jiǎ-xū | 개 | 1994년 2월 10일–1995년 1월 30일 |
12 | 1935년 2월 4일–1936년 1월 23일 | 음의 나무 | 乙 | 亥 | yǐ-hài | 돼지 | 1995년 1월 31일–1996년 2월 18일 |
13 | 1936년 1월 24일–1937년 2월 10일 | 양의 불 | 丙 | 子 | bǐng-zǐ | 쥐 | 1996년 2월 19일–1997년 2월 6일 |
14 | 1937년 2월 11일–1938년 1월 30일 | 음의 불 | 丁 | 丑 | dīng-chǒu | 소 | 1997년 2월 7일–1998년 1월 27일 |
15 | 1938년 1월 31일–1939년 2월 18일 | 양의 흙 | 戊 | 寅 | wù-yín | 호랑이 | 1998년 1월 28일–1999년 2월 15일 |
16 | 1939년 2월 19일–1940년 2월 7일 | 음의 흙 | 己 | 卯 | jǐ-mǎo | 토끼 | 1999년 2월 16일–2000년 2월 4일 |
17 | 1940년 2월 8일–1941년 1월 26일 | 양의 금 | 庚 | 辰 | gēng-chén | 용 | 2000년 2월 5일–2001년 1월 23일 |
18 | 1941년 1월 27일–1942년 2월 14일 | 음의 금 | 辛 | 巳 | xīn-sì | 뱀 | 2001년 1월 24일–2002년 2월 11일 |
19 | 1942년 2월 15일–1943년 2월 4일 | 양의 물 | 壬 | 午 | rén-wǔ | 말 | 2002년 2월 12일–2003년 1월 31일 |
20 | 1943년 2월 5일–1944년 1월 24일 | 음의 물 | 癸 | 未 | guǐ-wèi | 염소 | 2003년 2월 1일–2004년 1월 21일 |
21 | 1944년 1월 25일–1945년 2월 12일 | 양의 나무 | 甲 | 申 | jiǎ-shēn | 원숭이 | 2004년 1월 22일–2005년 2월 8일 |
22 | 1945년 2월 13일–1946년 2월 1일 | 음의 나무 | 乙 | 酉 | yǐ-yǒu | 닭 | 2005년 2월 9일–2006년 1월 28일 |
23 | 1946년 2월 2일–1947년 1월 21일 | 양의 불 | 丙 | 戌 | bǐng-xū | 개 | 2006년 1월 29일–2007년 2월 17일 |
24 | 1947년 1월 22일–1948년 2월 9일 | 음의 불 | 丁 | 亥 | dīng-hài | 돼지 | 2007년 2월 18일–2008년 2월 6일 |
25 | 1948년 2월 10일–1949년 1월 28일 | 양의 흙 | 戊 | 子 | wù-zǐ | 쥐 | 2008년 2월 7일–2009년 1월 25일 |
26 | 1949년 1월 29일–1950년 2월 16일 | 음의 흙 | 己 | 丑 | jǐ-chǒu | 소 | 2009년 1월 26일–2010년 2월 13일 |
27 | 1950년 2월 17일–1951년 2월 5일 | 양의 금 | 庚 | 寅 | gēng-yín | 호랑이 | 2010년 2월 14일–2011년 2월 2일 |
28 | 1951년 2월 6일–1952년 1월 26일 | 음의 금 | 辛 | 卯 | xīn-mǎo | 토끼 | 2011년 2월 3일–2012년 1월 22일 |
29 | 1952년 1월 27일–1953년 2월 13일 | 양의 물 | 壬 | 辰 | rén-chén | 용 | 2012년 1월 23일–2013년 2월 9일 |
30 | 1953년 2월 14일–1954년 2월 2일 | 음의 물 | 癸 | 巳 | guǐ-sì | 뱀 | 2013년 2월 10일–2014년 1월 30일 |
31 | 1954년 2월 3일–1955년 1월 23일 | 양의 나무 | 甲 | 午 | jiǎ-wǔ | 말 | 2014년 1월 31일–2015년 2월 18일 |
32 | 1955년 1월 24일–1956년 2월 11일 | 음의 나무 | 乙 | 未 | yǐ-wèi | 염소 | 2015년 2월 19일–2016년 2월 7일 |
33 | 1956년 2월 12일–1957년 1월 30일 | 양의 불 | 丙 | 申 | bǐng-shēn | 원숭이 | 2016년 2월 8일–2017년 1월 27일 |
34 | 1957년 1월 31일–1958년 2월 17일 | 음의 불 | 丁 | 酉 | dīng-yǒu | 닭 | 2017년 1월 28일–2018년 2월 15일 |
35 | 1958년 2월 18일–1959년 2월 7일 | 양의 흙 | 戊 | 戌 | wù-xū | 개 | 2018년 2월 16일–2019년 2월 4일 |
36 | 1959년 2월 8일–1960년 1월 27일 | 음의 흙 | 己 | 亥 | jǐ-hài | 돼지 | 2019년 2월 5일–2020년 1월 24일 |
37 | 1960년 1월 28일–1961년 2월 14일 | 양의 금 | 庚 | 子 | gēng-zǐ | 쥐 | 2020년 1월 25일–2021년 2월 11일 |
38 | 1961년 2월 15일–1962년 2월 4일 | 음의 금 | 辛 | 丑 | xīn-chǒu | 소 | 2021년 2월 12일–2022년 1월 31일 |
39 | 1962년 2월 5일–1963년 1월 24일 | 양의 물 | 壬 | 寅 | rén-yín | 호랑이 | 2022년 2월 1일–2023년 1월 21일 |
40 | 1963년 1월 25일–1964년 2월 12일 | 음의 물 | 癸 | 卯 | guǐ-mǎo | 토끼 | 2023년 1월 22일–2024년 2월 9일 |
41 | 1964년 2월 13일–1965년 2월 1일 | 양의 나무 | 甲 | 辰 | jiǎ-chén | 용 | 2024년 2월 10일–2025년 1월 28일 |
42 | 1965년 2월 2일–1966년 1월 20일 | 음의 나무 | 乙 | 巳 | yǐ-sì | 뱀 | 2025년 1월 29일–2026년 2월 16일 |
43 | 1966년 1월 21일–1967년 2월 8일 | 양의 불 | 丙 | 午 | bǐng-wǔ | 말 | 2026년 2월 17일–2027년 2월 5일 |
44 | 1967년 2월 9일–1968년 1월 29일 | 음의 불 | 丁 | 未 | dīng-wèi | 염소 | 2027년 2월 6일–2028년 1월 25일 |
45 | 1968년 1월 30일–1969년 2월 16일 | 양의 흙 | 戊 | 申 | wù-shēn | 원숭이 | 2028년 1월 26일–2029년 2월 12일 |
46 | 1969년 2월 17일–1970년 2월 5일 | 음의 흙 | 己 | 酉 | jǐ-yǒu | 닭 | 2029년 2월 13일–2030년 2월 2일 |
47 | 1970년 2월 6일–1971년 1월 26일 | 양의 금 | 庚 | 戌 | gēng-xū | 개 | 2030년 2월 3일–2031년 1월 22일 |
48 | 1971년 1월 27일–1972년 2월 14일 | 음의 금 | 辛 | 亥 | xīn-hài | 돼지 | 2031년 1월 23일–2032년 2월 10일 |
49 | 1972년 2월 15일–1973년 2월 2일 | 양의 물 | 壬 | 子 | rén-zǐ | 쥐 | 2032년 2월 11일–2033년 1월 30일 |
50 | 1973년 2월 3일–1974년 1월 22일 | 음의 물 | 癸 | 丑 | guǐ-chǒu | 소 | 2033년 1월 31일–2034년 2월 18일 |
51 | 1974년 1월 23일–1975년 2월 10일 | 양의 나무 | 甲 | 寅 | jiǎ-yín | 호랑이 | 2034년 2월 19일–2035년 2월 7일 |
52 | 1975년 2월 11일–1976년 1월 30일 | 음의 나무 | 乙 | 卯 | yǐ-mǎo | 토끼 | 2035년 2월 8일–2036년 1월 27일 |
53 | 1976년 1월 31일–1977년 2월 17일 | 양의 불 | 丙 | 辰 | bǐng-chén | 용 | 2036년 1월 28일–2037년 2월 14일 |
54 | 1977년 2월 18일–1978년 2월 6일 | 음의 불 | 丁 | 巳 | dīng-sì | 뱀 | 2037년 2월 15일–2038년 2월 3일 |
55 | 1978년 2월 7일–1979년 1월 27일 | 양의 흙 | 戊 | 午 | wù-wǔ | 말 | 2038년 2월 4일–2039년 1월 23일 |
56 | 1979년 1월 28일–1980년 2월 15일 | 음의 흙 | 己 | 未 | jǐ-wèi | 염소 | 2039년 1월 24일–2040년 2월 11일 |
57 | 1980년 2월 16일–1981년 2월 4일 | 양의 금 | 庚 | 申 | gēng-shēn | 원숭이 | 2040년 2월 12일–2041년 1월 31일 |
58 | 1981년 2월 5일–1982년 1월 24일 | 음의 금 | 辛 | 酉 | xīn-yǒu | 닭 | 2041년 2월 1일–2042년 1월 21일 |
59 | 1982년 1월 25일–1983년 2월 12일 | 양의 물 | 壬 | 戌 | rén-xū | 개 | 2042년 1월 22일–2043년 2월 9일 |
60 | 1983년 2월 13일–1984년 2월 1일 | 음의 물 | 癸 | 亥 | guǐ-hài | 돼지 | 2043년 2월 10일–2044년 1월 29일 |
4. 3. 중국 설과 띠의 전환
(전통적인) 중국 황도대는 (태음태양력인) 중국력을 따르므로, 띠의 전환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월 1일이 아닌 중국의 신년이다.[5] 1월이나 2월 초에 태어난 사람은 바로 전해의 띠와 원소를 갖게 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1990년은 말띠해였지만, 1990년 1월 27일에 말띠해가 시작했기 때문에, 1990년 1월 26일에 태어난 사람은 사실상 (바로 전 별자리의) 뱀띠해에 태어났다. 따라서, 어떤 사람이 1월이나 2월 초에 태어났다면, 그 사람의 실제 띠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출생일이 음력으로 1월 1일 전인지 후인지를 구별할 필요가 있다.다음 표는 1924년부터 2043년까지의 60년 주기를 서기력과 함께 보여준다. 육십갑자는 입춘에 시작된다.[5] 각 중국 음력의 해는 10개의 천간과 12개의 지지의 조합으로 구성되며, 육십갑자에서 60개의 간지를 이룬다.
rowspan=2 | | 연도 | 관련 오행 | 천간 | 지지 | 간지 (干支|간지중국어) 병음 | 관련 동물 | 연도 |
---|---|---|---|---|---|---|---|
1924–1983 | 1984–2043 | ||||||
1 | 1924년 2월 5일–1925년 1월 23일 | 양의 나무 | 甲 | 子 | jiǎ-zǐ | 쥐 | 1984년 2월 2일–1985년 2월 19일 |
2 | 1925년 1월 24일–1926년 2월 12일 | 음의 나무 | 乙 | 丑 | yǐ-chǒu | 소 | 1985년 2월 20일–1986년 2월 8일 |
3 | 1926년 2월 13일–1927년 2월 1일 | 양의 불 | 丙 | 寅 | bǐng-yín | 호랑이 | 1986년 2월 9일–1987년 1월 28일 |
4 | 1927년 2월 2일–1928년 1월 22일 | 음의 불 | 丁 | 卯 | dīng-mǎo | 토끼 | 1987년 1월 29일–1988년 2월 16일 |
5 | 1928년 1월 23일–1929년 2월 9일 | 양의 흙 | 戊 | 辰 | wù-chén | 용 | 1988년 2월 17일–1989년 2월 5일 |
6 | 1929년 2월 10일–1930년 1월 29일 | 음의 흙 | 己 | 巳 | jǐ-sì | 뱀 | 1989년 2월 6일–1990년 1월 26일 |
7 | 1930년 1월 30일–1931년 2월 16일 | 양의 금 | 庚 | 午 | gēng-wǔ | 말 | 1990년 1월 27일–1991년 2월 14일 |
8 | 1931년 2월 17일–1932년 2월 5일 | 음의 금 | 辛 | 未 | xīn-wèi | 염소 | 1991년 2월 15일–1992년 2월 3일 |
9 | 1932년 2월 6일–1933년 1월 25일 | 양의 물 | 壬 | 申 | rén-shēn | 원숭이 | 1992년 2월 4일–1993년 1월 22일 |
10 | 1933년 1월 26일–1934년 2월 13일 | 음의 물 | 癸 | 酉 | guǐ-yǒu | 닭 | 1993년 1월 23일–1994년 2월 9일 |
11 | 1934년 2월 14일–1935년 2월 3일 | 양의 나무 | 甲 | 戌 | jiǎ-xū | 개 | 1994년 2월 10일–1995년 1월 30일 |
12 | 1935년 2월 4일–1936년 1월 23일 | 음의 나무 | 乙 | 亥 | yǐ-hài | 돼지 | 1995년 1월 31일–1996년 2월 18일 |
13 | 1936년 1월 24일–1937년 2월 10일 | 양의 불 | 丙 | 子 | bǐng-zǐ | 쥐 | 1996년 2월 19일–1997년 2월 6일 |
14 | 1937년 2월 11일–1938년 1월 30일 | 음의 불 | 丁 | 丑 | dīng-chǒu | 소 | 1997년 2월 7일–1998년 1월 27일 |
15 | 1938년 1월 31일–1939년 2월 18일 | 양의 흙 | 戊 | 寅 | wù-yín | 호랑이 | 1998년 1월 28일–1999년 2월 15일 |
16 | 1939년 2월 19일–1940년 2월 7일 | 음의 흙 | 己 | 卯 | jǐ-mǎo | 토끼 | 1999년 2월 16일–2000년 2월 4일 |
17 | 1940년 2월 8일–1941년 1월 26일 | 양의 금 | 庚 | 辰 | gēng-chén | 용 | 2000년 2월 5일–2001년 1월 23일 |
18 | 1941년 1월 27일–1942년 2월 14일 | 음의 금 | 辛 | 巳 | xīn-sì | 뱀 | 2001년 1월 24일–2002년 2월 11일 |
19 | 1942년 2월 15일–1943년 2월 4일 | 양의 물 | 壬 | 午 | rén-wǔ | 말 | 2002년 2월 12일–2003년 1월 31일 |
20 | 1943년 2월 5일–1944년 1월 24일 | 음의 물 | 癸 | 未 | guǐ-wèi | 염소 | 2003년 2월 1일–2004년 1월 21일 |
21 | 1944년 1월 25일–1945년 2월 12일 | 양의 나무 | 甲 | 申 | jiǎ-shēn | 원숭이 | 2004년 1월 22일–2005년 2월 8일 |
22 | 1945년 2월 13일–1946년 2월 1일 | 음의 나무 | 乙 | 酉 | yǐ-yǒu | 닭 | 2005년 2월 9일–2006년 1월 28일 |
23 | 1946년 2월 2일–1947년 1월 21일 | 양의 불 | 丙 | 戌 | bǐng-xū | 개 | 2006년 1월 29일–2007년 2월 17일 |
24 | 1947년 1월 22일–1948년 2월 9일 | 음의 불 | 丁 | 亥 | dīng-hài | 돼지 | 2007년 2월 18일–2008년 2월 6일 |
25 | 1948년 2월 10일–1949년 1월 28일 | 양의 흙 | 戊 | 子 | wù-zǐ | 쥐 | 2008년 2월 7일–2009년 1월 25일 |
26 | 1949년 1월 29일–1950년 2월 16일 | 음의 흙 | 己 | 丑 | jǐ-chǒu | 소 | 2009년 1월 26일–2010년 2월 13일 |
27 | 1950년 2월 17일–1951년 2월 5일 | 양의 금 | 庚 | 寅 | gēng-yín | 호랑이 | 2010년 2월 14일–2011년 2월 2일 |
28 | 1951년 2월 6일–1952년 1월 26일 | 음의 금 | 辛 | 卯 | xīn-mǎo | 토끼 | 2011년 2월 3일–2012년 1월 22일 |
29 | 1952년 1월 27일–1953년 2월 13일 | 양의 물 | 壬 | 辰 | rén-chén | 용 | 2012년 1월 23일–2013년 2월 9일 |
30 | 1953년 2월 14일–1954년 2월 2일 | 음의 물 | 癸 | 巳 | guǐ-sì | 뱀 | 2013년 2월 10일–2014년 1월 30일 |
31 | 1954년 2월 3일–1955년 1월 23일 | 양의 나무 | 甲 | 午 | jiǎ-wǔ | 말 | 2014년 1월 31일–2015년 2월 18일 |
32 | 1955년 1월 24일–1956년 2월 11일 | 음의 나무 | 乙 | 未 | yǐ-wèi | 염소 | 2015년 2월 19일–2016년 2월 7일 |
33 | 1956년 2월 12일–1957년 1월 30일 | 양의 불 | 丙 | 申 | bǐng-shēn | 원숭이 | 2016년 2월 8일–2017년 1월 27일 |
34 | 1957년 1월 31일–1958년 2월 17일 | 음의 불 | 丁 | 酉 | dīng-yǒu | 닭 | 2017년 1월 28일–2018년 2월 15일 |
35 | 1958년 2월 18일–1959년 2월 7일 | 양의 흙 | 戊 | 戌 | wù-xū | 개 | 2018년 2월 16일–2019년 2월 4일 |
36 | 1959년 2월 8일–1960년 1월 27일 | 음의 흙 | 己 | 亥 | jǐ-hài | 돼지 | 2019년 2월 5일–2020년 1월 24일 |
37 | 1960년 1월 28일–1961년 2월 14일 | 양의 금 | 庚 | 子 | gēng-zǐ | 쥐 | 2020년 1월 25일–2021년 2월 11일 |
38 | 1961년 2월 15일–1962년 2월 4일 | 음의 금 | 辛 | 丑 | xīn-chǒu | 소 | 2021년 2월 12일–2022년 1월 31일 |
39 | 1962년 2월 5일–1963년 1월 24일 | 양의 물 | 壬 | 寅 | rén-yín | 호랑이 | 2022년 2월 1일–2023년 1월 21일 |
40 | 1963년 1월 25일–1964년 2월 12일 | 음의 물 | 癸 | 卯 | guǐ-mǎo | 토끼 | 2023년 1월 22일–2024년 2월 9일 |
41 | 1964년 2월 13일–1965년 2월 1일 | 양의 나무 | 甲 | 辰 | jiǎ-chén | 용 | 2024년 2월 10일–2025년 1월 28일 |
42 | 1965년 2월 2일–1966년 1월 20일 | 음의 나무 | 乙 | 巳 | yǐ-sì | 뱀 | 2025년 1월 29일–2026년 2월 16일 |
43 | 1966년 1월 21일–1967년 2월 8일 | 양의 불 | 丙 | 午 | bǐng-wǔ | 말 | 2026년 2월 17일–2027년 2월 5일 |
44 | 1967년 2월 9일–1968년 1월 29일 | 음의 불 | 丁 | 未 | dīng-wèi | 염소 | 2027년 2월 6일–2028년 1월 25일 |
45 | 1968년 1월 30일–1969년 2월 16일 | 양의 흙 | 戊 | 申 | wù-shēn | 원숭이 | 2028년 1월 26일–2029년 2월 12일 |
46 | 1969년 2월 17일–1970년 2월 5일 | 음의 흙 | 己 | 酉 | jǐ-yǒu | 닭 | 2029년 2월 13일–2030년 2월 2일 |
47 | 1970년 2월 6일–1971년 1월 26일 | 양의 금 | 庚 | 戌 | gēng-xū | 개 | 2030년 2월 3일–2031년 1월 22일 |
48 | 1971년 1월 27일–1972년 2월 14일 | 음의 금 | 辛 | 亥 | xīn-hài | 돼지 | 2031년 1월 23일–2032년 2월 10일 |
49 | 1972년 2월 15일–1973년 2월 2일 | 양의 물 | 壬 | 子 | rén-zǐ | 쥐 | 2032년 2월 11일–2033년 1월 30일 |
50 | 1973년 2월 3일–1974년 1월 22일 | 음의 물 | 癸 | 丑 | guǐ-chǒu | 소 | 2033년 1월 31일–2034년 2월 18일 |
51 | 1974년 1월 23일–1975년 2월 10일 | 양의 나무 | 甲 | 寅 | jiǎ-yín | 호랑이 | 2034년 2월 19일–2035년 2월 7일 |
52 | 1975년 2월 11일–1976년 1월 30일 | 음의 나무 | 乙 | 卯 | yǐ-mǎo | 토끼 | 2035년 2월 8일–2036년 1월 27일 |
53 | 1976년 1월 31일–1977년 2월 17일 | 양의 불 | 丙 | 辰 | bǐng-chén | 용 | 2036년 1월 28일–2037년 2월 14일 |
54 | 1977년 2월 18일–1978년 2월 6일 | 음의 불 | 丁 | 巳 | dīng-sì | 뱀 | 2037년 2월 15일–2038년 2월 3일 |
55 | 1978년 2월 7일–1979년 1월 27일 | 양의 흙 | 戊 | 午 | wù-wǔ | 말 | 2038년 2월 4일–2039년 1월 23일 |
56 | 1979년 1월 28일–1980년 2월 15일 | 음의 흙 | 己 | 未 | jǐ-wèi | 염소 | 2039년 1월 24일–2040년 2월 11일 |
57 | 1980년 2월 16일–1981년 2월 4일 | 양의 금 | 庚 | 申 | gēng-shēn | 원숭이 | 2040년 2월 12일–2041년 1월 31일 |
58 | 1981년 2월 5일–1982년 1월 24일 | 음의 금 | 辛 | 酉 | xīn-yǒu | 닭 | 2041년 2월 1일–2042년 1월 21일 |
59 | 1982년 1월 25일–1983년 2월 12일 | 양의 물 | 壬 | 戌 | rén-xū | 개 | 2042년 1월 22일–2043년 2월 9일 |
60 | 1983년 2월 13일–1984년 2월 1일 | 음의 물 | 癸 | 亥 | guǐ-hài | 돼지 | 2043년 2월 10일–2044년 1월 29일 |
4. 4. 육십갑자 달력표
육십갑자는 10개의 천간과 12개의 지지를 조합하여 만든 60개의 간지로, 연도를 표기하는 데 사용된다. 10개의 천간은 오행(나무, 불, 흙, 쇠, 물)과 음양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며, 12개의 지지는 십이지신이라고 알려진 동물들(쥐, 소, 호랑이, 토끼, 용, 뱀, 말, 양, 원숭이, 닭, 개, 돼지)로 구성된다.[10]순서 | 연도 | 연관 원소 | 천간 | 지지 | 연관 동물 | |
---|---|---|---|---|---|---|
1924년 ~ 1983년 | 1984년 ~ 2043년 | |||||
1 | 1924년 2월 5일 ~ 1925년 1월 23일 | 1984년 2월 2일 ~ 1985년 2월 19일 | 양의 나무 | 갑(甲) | 자(子) | 쥐 |
2 | 1925년 1월 24일 ~ 1926년 2월 12일 | 1985년 1월 22일 ~ 1986년 2월 8일 | 음의 나무 | 을(乙) | 축(丑) | 소 |
3 | 1926년 2월 13일 ~ 1927년 2월 1일 | 1986년 2월 9일 ~ 1987년 1월 28일 | 양의 불 | 병(丙) | 인(寅) | 호랑이 |
4 | 1927년 2월 2일 ~ 1928년 1월 22일 | 1987년 1월 29일 ~ 1988년 2월 16일 | 음의 불 | 정(丁) | 묘(卯) | 토끼 |
5 | 1928년 1월 23년 ~ 1929년 2월 9일 | 1988년 2월 17일 ~ 1989년 2월 5일 | 양의 흙 | 무(戊) | 진(辰) | 용 |
6 | 1929년 2월 10일 ~ 1930년 1월 29일 | 1989년 2월 6일 ~ 1990년 1월 26일 | 음의 흙 | 기(己) | 사(巳) | 뱀 |
7 | 1930년 1월 30일 ~ 1931년 2월 16일 | 1990년 1월 27일 ~ 1991년 2월 14일 | 양의 쇠 | 경(庚) | 오(午) | 말 |
8 | 1931년 2월 17일 ~ 1932년 2월 5일 | 1991년 2월 15일 ~ 1992년 2월 3일 | 음의 쇠 | 신(辛) | 미(未) | 양 |
9 | 1932년 2월 6일 ~ 1933년 1월 25일 | 1992년 2월 4일 ~ 1993년 1월 22일 | 양의 물 | 임(壬) | 신(申) | 원숭이 |
10 | 1933년 1월 26일 ~ 1934년 2월 13일 | 1993년 1월 23일 ~ 1994년 2월 9일 | 음의 물 | 계(癸) | 유(酉) | 닭 |
11 | 1934년 2월 14일 ~ 1935년 2월 3일 | 1994년 2월 10일 ~ 1995년 1월 30일 | 양의 나무 | 갑(甲) | 술(戌) | 개 |
12 | 1935년 2월 4일 ~ 1936년 1월 23일 | 1995년 1월 31일 ~ 1996년 2월 18일 | 음의 나무 | 을(乙) | 해(亥) | 돼지 |
13 | 1936년 1월 24일 ~ 1937년 2월 10일 | 1996년 2월 19일 ~ 1997년 2월 6일 | 양의 불 | 병(丙) | 자(子) | 쥐 |
14 | 1937년 2월 11일 ~ 1938년 1월 30일 | 1997년 2월 7일 ~ 1998년 1월 27일 | 음의 불 | 정(丁) | 축(丑) | 소 |
15 | 1938년 1월 31일 ~ 1939년 2월 18일 | 1998년 1월 28일 ~ 1999년 2월 15일 | 양의 흙 | 무(戊) | 인(寅) | 호랑이 |
16 | 1939년 2월 19일 ~ 1940년 2월 7일 | 1999년 2월 16일 ~ 2000년 2월 4일 | 음의 흙 | 기(己) | 묘(卯) | 토끼 |
17 | 1940년 2월 8일 ~ 1941년 1월 26일 | 2000년 2월 5일 ~ 2001년 1월 23일 | 양의 쇠 | 경(庚) | 진(辰) | 용 |
18 | 1941년 1월 27일 ~ 1942년 2월 14일 | 2001년 1월 24일 ~ 2002년 2월 11일 | 음의 쇠 | 신(辛) | 사(巳) | 뱀 |
19 | 1942년 2월 15일 ~ 1943년 2월 4일 | 2002년 2월 12일 ~ 2003년 1월 31일 | 양의 물 | 임(壬) | 오(午) | 말 |
20 | 1943년 2월 5일 ~ 1944년 1월 24일 | 2003년 2월 1일 ~ 2004년 1월 21일 | 음의 물 | 계(癸) | 미(未) | 양 |
21 | 1944년 1월 25일 ~ 1945년 2월 12일 | 2004년 1월 22일 ~ 2005년 2월 8일 | 양의 나무 | 갑(甲) | 신(申) | 원숭이 |
22 | 1945년 2월 13일 ~ 1946년 2월 1일 | 2005년 2월 9일 ~ 2006년 1월 28일 | 음의 나무 | 을(乙) | 유(酉) | 닭 |
23 | 1946년 2월 2일 ~ 1947년 1월 21일 | 2006년 1월 29일 ~ 2007년 2월 17일 | 양의 불 | 병(丙) | 술(戌) | 개 |
24 | 1947년 1월 22일 ~ 1948년 2월 9일 | 2007년 2월 18일 ~ 2008년 2월 6일 | 음의 불 | 정(丁) | 해(亥) | 돼지 |
25 | 1948년 2월 10일 ~ 1949년 1월 28일 | 2008년 2월 7일 ~ 2009년 1월 25일 | 양의 흙 | 무(戊) | 자(子) | 쥐 |
26 | 1949년 1월 29일 ~ 1950년 2월 16일 | 2009년 1월 26일 ~ 2010년 2월 13일 | 음의 흙 | 기(己) | 축(丑) | 소 |
27 | 1950년 2월 17일 ~ 1951년 2월 5일 | 2010년 2월 14일 ~ 2011년 2월 2일 | 양의 쇠 | 경(庚) | 인(寅) | 호랑이 |
28 | 1951년 2월 6일 ~ 1952년 1월 26일 | 2011년 2월 3일 ~ 2012년 1월 22일 | 음의 쇠 | 신(辛) | 묘(卯) | 토끼 |
29 | 1952년 1월 27일 ~ 1953년 2월 13일 | 2012년 1월 23일 ~ 2013년 2월 9일 | 양의 물 | 임(壬) | 진(辰) | 용 |
30 | 1953년 2월 14일 ~ 1954년 2월 2일 | 2013년 2월 10일 ~ 2014년 1월 30일 | 음의 물 | 계(癸) | 사(巳) | 뱀 |
31 | 1954년 2월 3일 ~ 1955년 1월 23일 | 2014년 1월 31일 ~ 2015년 2월 18일 | 양의 나무 | 갑(甲) | 오(午) | 말 |
32 | 1955년 1월 24일 ~ 1956년 2월 11일 | 2015년 2월 19일 ~ 2016년 2월 7일 | 음의 나무 | 을(乙) | 미(未) | 양 |
33 | 1956년 2월 12일 ~ 1957년 1월 30일 | 2016년 2월 8일 ~ 2017년 1월 27일 | 양의 불 | 병(丙) | 신(申) | 원숭이 |
34 | 1957년 1월 31일 ~ 1958년 2월 17일 | 2017년 1월 28일 ~ 2018년 2월 15일 | 음의 불 | 정(丁) | 유(酉) | 닭 |
35 | 1958년 2월 18일 ~ 1959년 2월 7일 | 2018년 2월 16일 ~ 2019년 2월 4일 | 양의 흙 | 무(戊) | 술(戌) | 개 |
36 | 1959년 2월 8일 ~ 1960년 1월 27일 | 2019년 2월 5일 ~ 2020년 1월 24일 | 음의 흙 | 기(己) | 해(亥) | 돼지 |
37 | 1960년 1월 28일 ~ 1961년 2월 14일 | 2020년 1월 25일 ~ 2021년 2월 11일 | 양의 쇠 | 경(庚) | 자(子) | 쥐 |
38 | 1961년 2월 15일 ~ 1962년 2월 4일 | 2021년 2월 12일 ~ 2022년 1월 31일 | 음의 쇠 | 신(辛) | 축(丑) | 소 |
39 | 1962년 2월 5일 ~ 1963년 1월 24일 | 2022년 2월 1일 ~ 2023년 1월 21일 | 양의 물 | 임(壬) | 인(寅) | 호랑이 |
40 | 1963년 1월 25일 ~ 1964년 2월 12일 | 2023년 1월 22일 ~ 2024년 2월 9일 | 음의 물 | 계(癸) | 묘(卯) | 토끼 |
41 | 1964년 2월 13일 ~ 1965년 2월 1일 | 2024년 2월 10일 ~ 2025년 1월 28일 | 양의 나무 | 갑(甲) | 진(辰) | 용 |
42 | 1965년 2월 2일 ~ 1966년 1월 20일 | 2025년 1월 29일 ~ 2026년 2월 16일 | 음의 나무 | 을(乙) | 사(巳) | 뱀 |
43 | 1966년 1월 21일 ~ 1967년 2월 8일 | 2026년 2월 17일 ~ 2027년 2월 5일 | 양의 불 | 병(丙) | 오(午) | 말 |
44 | 1967년 2월 9일 ~ 1968년 1월 29일 | 2027년 2월 6일 ~ 2028년 1월 25일 | 음의 불 | 정(丁) | 미(未) | 양 |
45 | 1968년 1월 30일 ~ 1969년 2월 16일 | 2028년 1월 26일 ~ 2029년 2월 12일 | 양의 흙 | 무(戊) | 신(申) | 원숭이 |
46 | 1969년 2월 17일 ~ 1970년 2월 5일 | 2029년 2월 13일 ~ 2030년 2월 2일 | 음의 흙 | 기(己) | 유(酉) | 닭 |
47 | 1970년 2월 6일 ~ 1971년 1월 26일 | 2030년 2월 3일 ~ 2031년 1월 22일 | 양의 쇠 | 경(庚) | 술(戌) | 개 |
48 | 1971년 1월 27일 ~ 1972년 2월 14일 | 2031년 1월 23일 ~ 2032년 2월 10일 | 음의 쇠 | 신(辛) | 해(亥) | 돼지 |
49 | 1972년 2월 15일 ~ 1973년 2월 2일 | 2032년 2월 11일 ~ 2033년 1월 30일 | 양의 물 | 임(壬) | 자(子) | 쥐 |
50 | 1973년 2월 3일 ~ 1974년 1월 22일 | 2033년 1월 31일 ~ 2034년 2월 18일 | 음의 물 | 계(癸) | 축(丑) | 소 |
51 | 1974년 1월 23일 ~ 1975년 2월 10일 | 2034년 2월 19일 ~ 2035년 2월 7일 | 양의 나무 | 갑(甲) | 인(寅) | 호랑이 |
52 | 1975년 2월 11일 ~ 1976년 1월 30일 | 2035년 2월 8일 ~ 2036년 1월 27일 | 음의 나무 | 을(乙) | 묘(卯) | 토끼 |
53 | 1976년 1월 31일 ~ 1977년 2월 17일 | 2036년 1월 28일 ~ 2037년 2월 14일 | 양의 불 | 병(丙) | 진(辰) | 용 |
54 | 1977년 2월 18일 ~ 1978년 2월 6일 | 2037년 2월 15일 ~ 2038년 2월 3일 | 음의 불 | 정(丁) | 사(巳) | 뱀 |
55 | 1978년 2월 7일 ~ 1979년 1월 27일 | 2038년 2월 4일 ~ 2039년 1월 23일 | 양의 흙 | 무(戊) | 오(午) | 말 |
56 | 1979년 1월 28일 ~ 1980년 2월 15일 | 2039년 1월 24일 ~ 2040년 2월 11일 | 음의 흙 | 기(己) | 미(未) | 양 |
57 | 1980년 2월 16일 ~ 1981년 2월 4일 | 2040년 2월 12일 ~ 2041년 1월 31일 | 양의 쇠 | 경(庚) | 신(申) | 원숭이 |
58 | 1981년 2월 5일 ~ 1982년 1월 24일 | 2041년 2월 1일 ~ 2042년 1월 21일 | 음의 쇠 | 신(辛) | 유(酉) | 닭 |
59 | 1982년 1월 25일 ~ 1983년 2월 12일 | 2042년 1월 22일 ~ 2043년 2월 9일 | 양의 물 | 임(壬) | 술(戌) | 개 |
60 | 1983년 2월 13일 ~ 1984년 2월 1일 | 2043년 2월 10일 ~ 2044년 1월 29일 | 음의 물 | 계(癸) | 해(亥) | 돼지 |
위 표는 1924년부터 2043년까지의 육십갑자를 서양력과 비교하여 나타낸 것이다. 각 해는 천간과 지지의 조합으로 표시되며, 예를 들어 2013년은 계사년(癸巳年)이다.
4. 5. 출생 시간과 띠
중국 황도대는 하루의 시간을 표시하는 데에도 사용되며, 각 기호는 2시간 단위인 "시진(時辰)"에 해당한다.[11] 출생 시간은 사람의 두 번째 별자리, 즉 상승점 별자리를 결정한다.서울에서 태어난 사람들의 경우, 참고할 시간은 다음과 같다.[11]
시간 | 띠 |
---|---|
23:33 ~ 01:32 | 쥐 |
01:33 ~ 03:32 | 소 |
03:33 ~ 05:32 | 호랑이 |
05:33 ~ 07:32 | 토끼 |
07:33 ~ 09:32 | 용 |
09:33 ~ 11:32 | 뱀 |
11:33 ~ 13:32 | 말 |
13:33 ~ 15:32 | 양 |
15:33 ~ 17:32 | 원숭이 |
17:33 ~ 19:32 | 닭 |
19:33 ~ 21:32 | 개 |
21:33 ~ 23:32 | 돼지 |
5. 오행(五行)
오행(五行, 한어 병음: ''wuxing'', 한글 표기: ''우싱'')의 '행(行)'은 보통 '원소'로 번역되지만, 실제로는 '존재의 변화하는 상태', '변형'과 같은 의미를 지닌다.[12] 이는 서양의 고대 원소와는 다른 개념으로, 중국의 오행은 끊임없이 변화하고 움직이는 속성을 지닌다.[6]
다섯 개의 고대 행성은 오행과 연결된다.:
5. 1. 오행의 속성
중국 점성술에서 오행(五行)은 각각 특정한 방향, 계절, 신화 속 동물, 행성, 색깔, 신체 기관과 연결된다. 이러한 연결은 한나라(기원전 2세기 ~ 기원후 2세기) 동안 중국 전통 문화의 요소들이 결합하여 형성된 철학적 원리의 일부이다.[9]오행과 관련된 속성은 다음과 같다.
오행 | 방향 | 계절 | 사신(四神) | 행성 | 색깔 | 신체 기관 |
---|---|---|---|---|---|---|
목(木) | 동쪽 | 봄 | 청룡 | 목성 | 초록색 | 간, 담 |
화(火) | 남쪽 | 여름 | 주작 | 화성 | 붉은색 | 순환계, 심, 소장 |
토(土) | 중앙 | 환절기 (계절의 마지막 달) | 황룡 | 토성 | 노란색 | 소화계, 비, 위 |
금(金) | 서쪽 | 가을 | 백호 | 금성 | 흰색 | 호흡 기관, 폐, 대장 |
수(水) | 북쪽 | 겨울 | 현무 | 수성 | 검은색/파란색 | 뼈, 방광, 신 |
오행(五行, 한어 병음: ''wuxing'', 한글 표기: ''우싱'')의 '행(行)'은 문자 그대로 '존재의 변화하는 상태', '순열', '존재의 변형'과 같은 의미를 지닌다.[12] 서양의 고대 원소와는 달리, 중국의 오행은 끊임없이 변화하고 움직이는 속성을 강조한다.[6]
5. 2. 오행의 상생과 상극
오행은 상호작용을 통해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데, 크게 상생(相生)과 상극(相剋)의 두 가지 관계로 나타난다.상생(相生)은 서로 돕고 순환하는 관계이다.
- 나무(木)는 불(火)을 일으키고,
- 불(火)은 재를 만들어 흙(土)을 생성하며,
- 흙(土)은 금속(金)을 품고,
- 금속(金)은 응결되어 물(水)을 만들며,
- 물(水)은 나무(木)를 자라게 한다.[7]
상극(相剋)은 서로 제어하고 억제하는 관계이다.
6. 띠(생초, 生肖)
중국 점성술에서 띠(생초, 生肖)는 12년 주기로 사람의 성격과 운명에 영향을 미친다고 여겨지는 열두 가지 동물을 말한다. 띠는 주나라(기원전 1046~256년) 때 정교하게 만들어졌고 한나라(기원전 2세기 ~ 기원후 2세기) 때 크게 발전했다.[9] 띠는 출생 연도 뿐만 아니라 월, 일, 시진에도 적용되어 사주를 구성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6. 1. 띠의 특성
황도대의 열두 동물 별자리는 성격의 열두 가지의 다른 유형을 나타낸다. 전통적으로 황도대는 쥐의 별자리에서 시작하며 중국 황도대의 기원에 대해서와 왜 그런지를 설명하는 많은 이야기들이 있다.[13] 이것들은 우리에게 띠로 익숙하다.다음은 순서대로 나열된 열두 황도대와 그것들의 특성이다.
띠 | 음양 | 대좌 | 원소 |
---|---|---|---|
쥐 | 양 | 1번째 | 물 |
소 (베트남에서는 물소) | 음 | 2번째 | 물 |
호랑이 | 양 | 3번째 | 나무 |
토끼 (베트남에서는 고양이) | 음 | 4번째 | 나무 |
용 (카자흐스탄에서는 달팽이) | 양 | 1번째 | 나무 |
뱀 | 음 | 2번째 | 불 |
말 | 양 | 3번째 | 불 |
양 | 음 | 4번째 | 불 |
원숭이 | 양 | 1번째 | 쇠 |
닭 | 음 | 2번째 | 쇠 |
개 | 양 | 3번째 | 쇠 |
돼지 | 음 | 4번째 | 물 |
연(年)에 할당된 동물의 별자리는 다른 사람들이 당신을 어떤 존재로 인식하는지 또는 당신이 스스로를 어떻게 표현하는지를 나타낸다. 연도에 할당된 별자리는 단 하나 밖에 없다는 생각은 일반적인 오해이다. 사실, 월(月)과 일(日) 그리고 하루의 시진(時辰)에 할당된 동물의 별자리들도 있다. 한 사람의 출생 연월일시는 중국 점성술에서 그 사람의 운명을 결정한다고 하는 사주(四柱)의 주요소이다.
예를 들어, 용띠 해에 태어난 사람은 용띠임과 동시에, 출생월에 근거해서 뱀띠가 될 수도 있고, 출생 일자에 근거해서 소띠가 될 수도 있으며, 출생 시진에 근거해서 양띠가 될 수도 있다.
6. 2. 띠와 음양, 대좌, 오행
황도대의 열두 동물 별자리는 열두 가지의 다른 유형의 성격을 나타낸다. 전통적으로 황도대는 쥐띠에서 시작하며, 중국 황도대의 기원에 대해 설명하는 많은 이야기가 있다. 우리에게 띠로 익숙한 열두 황도대와 그것들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13]띠 | 음양 | 대좌 | 불변 원소 |
---|---|---|---|
쥐 | 양 | 1번째 | 물 |
소 (베트남에서는 물소) | 음 | 2번째 | 물 |
호랑이 | 양 | 3번째 | 나무 |
토끼 (베트남에서는 고양이) | 음 | 4번째 | 나무 |
용 (카자흐스탄에서는 달팽이) | 양 | 1번째 | 나무 |
뱀 | 음 | 2번째 | 불 |
말 | 양 | 3번째 | 불 |
양 | 음 | 4번째 | 불 |
원숭이 | 양 | 1번째 | 쇠 |
닭 | 음 | 2번째 | 쇠 |
개 | 양 | 3번째 | 쇠 |
돼지 | 음 | 4번째 | 물 |
연(年)에 할당된 동물의 별자리는 다른 사람들이 당신을 어떻게 인식하는지, 또는 당신이 스스로를 어떻게 표현하는지를 나타낸다. 연도 외에도 월(月), 일(日), 시진(時辰)에 할당된 동물 별자리도 있으며, 이는 사주의 주요소가 된다. 예를 들어, 용띠 해에 태어난 사람은 출생 월에 따라 뱀띠, 출생 일에 따라 소띠, 출생 시진에 따라 양띠가 될 수도 있다.
6. 3. 사주팔자
중국 점성술에서 한 사람의 운명은 출생 연도, 월, 일, 시진에 따라 결정되며, 이를 사주(四柱)라고 부른다.[13] 각 요소는 황도대 별자리의 12가지 동물 중 하나를 상징한다. 예를 들어, 용띠 해에 태어난 사람은 출생 월에 따라 뱀띠, 출생일에 따라 소띠, 출생 시진에 따라 양띠가 될 수 있다.7. 중국 점성술과 철학
중국 점성술은 도교에서 유래한 중국 철학의 핵심 가치 및 개념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4]
참조
[1]
서적
Chinese mathematical astrology : reaching out to the stars
Routledge
2003
[2]
서적
The Chinese Sky during the Han: Constellating Stars and Society
Brill
[3]
서적
Fate A Chinese Zodiac
Center Press, John L. Norris Art Center, Lyndon Institute
[4]
서적
[5]
웹사이트
"Almanac" "lunar" zodiac beginning of spring as the boundary dislocation? — China Network
http://big5.china.co[...]
2009-02-16
[6]
서적
A Dictionary of Chinese Symbols
Routledge and Keegan Paul
[7]
웹사이트
Five Elements(Wu Xing)
https://www.yourchin[...]
YourChineseAstrology.com
[8]
서적
Simple Guide to Five Element Acupuncture
Singing Dragon
[9]
서적
The Chinese sky during the Han: constellating stars and society
BRILL
[10]
웹인용
"Almanac" "lunar" zodiac beginning of spring as the boundary dislocation? — China Network
http://big5.china.co[...]
2013-03-30
[11]
URL
http://traditionalfe[...]
[12]
서적
A Dictionary of Chinese Symbols
Routledge and Keegan Paul
[13]
서적
The Handbook of Chinese Horoscopes
Souvenir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